수익 아닌 재고가 남았다? 영국 패션 제조업 성장의 숨겨진 진실

2025년 1분기, 영국 패션 제조업체들이 화려한 매출 성장을 기록했습니다.
실적 상승의 소식만 보면 장밋빛 미래가 펼쳐진 것 같지만, 그 속내를 들여다보면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.

이번 포스팅에서는 영국 제조업 동향 데이터를 중심으로
‘기록적인 판매 실적’의 이면에 숨겨진 문제점들과
국내 기업들이 참고할 만한 포인트들을 정리해드립니다.


🔍 핵심 요약: 뭔가 잘 된 것 같은데, 이게 맞아?

구분 내용
매출 전년 동기 대비 171% 급증 (패션 제조업 기준)
수익성(GMROI) 전년 대비 36% 감소, 재고 대비 수익률 하락
재고 수준 전년 대비 76% 급증
구매 오더 작년 336건 → 올해 313건으로 감소 (7%↓)
리드 타임(납기일) 전년 22일 → 올해 19일로 단축 (14%↓)

📈 대박처럼 보이는 외형 성장

Q1 2025년, 현지 패션 제조업 시장은 판매량 기준으로
무려 171%라는 기록적인 성장률을 보였습니다.

이는 다음과 같은 요인이 작용한 결과입니다:

  • 📦 해외 수입에 부과될 관세를 피하려는 기업들의 ‘선물량 확보’
  • 🧶 일부 해외 바이어, 정치 리스크 회피를 위해 영국 업체와 거래 확대
  • 💱 영국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 기조 → 내수 소비 및 투자 회복

📝 실제로 액세스 그룹(Access Group)의 GM(일반 관리자)인 조 르웰린은
“관세 영향으로 바이어들이 거래 방향을 전환하는 바람에
일부 업체는 예상치 못한 특수를 누렸다”고 밝혔습니다.


⚠️ 하지만 수익성은… 계속 하락 중

매출만 보면 고무적이지만,
알고 보면 수익성은 계속 떨어지고 있습니다.

특히 ‘GMROI(재고투자회수율)’는 아래와 같이 하락했습니다.

구분 수치
전분기 대비 53% 감소
전년 동기 대비 36% 감소
GMROI 수치 1파운드 투자당 £4.14 수익

이는 재고가 과잉이며, 투자 대비 회수율이 줄고 있다는 증거입니다.
말 그대로 “팔리긴 했는데 남는 게 없다”는 구조라 할 수 있습니다.


📦 재고 과잉 + 발주 감소 = 위험 시그널?

이번 분기 가장 큰 특징은
재고는 많이 쌓였지만, 미래 발주는 줄었다는 점입니다.

항목 변화율
과잉 재고 전년 대비 76% 증가, 전분기 대비 51% 증가
구매 오더 수 전년 대비 7% 감소, 전분기 대비 22% 감소

이는 실질 구매자들이 “과도한 비축” 이후
더 이상 발주를 늘리지 않고 관망세에 들어갔다는 뜻입니다.

즉, 현재의 매출 증가는 ‘일시적인 현상’일 가능성이 높고,
향후 몇 분기 내에 주문 급감 및 생산 축소가 이뤄질 수 있다는 경고이기도 합니다.


🛠 리드 타임 개선으로 반사이익

다행히 전체 제조 분야에서는 납기일(LT)이 많이 단축되었습니다.

📌 평균 납기일: 19일
📉 전분기(25일) 대비 24% 단축
📉 전년(22일) 대비 14% 단축

이러한 납기 개선은 “유연한 공급망 관리”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하며,
국내 중소제조업체들이 참고할 ‘공급망 개선 사례’로 볼 수 있습니다.

특히 ‘스포츠 및 엔터테인먼트’ 제품군에서는
리드 타임이 무려 45% 단축되어 효율화 성공 사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.


📌 참고: 산업별 실적 변화 요약표

산업군 분기별 매출 변화율(QoQ) 특이사항
패션 제조 +171% 단연 최대 성장
전자·통신 -23% 유일한 감소 분야 중 하나
식품 가공 -34% 공급망 이슈 지속
스포츠/엔터테인먼트 리드타임 -45% 효율성 극대화
산업용 기계 재고 -68% 효율적 재고 관리 모델

🇰🇷 국내 기업에게 주는 시사점

  1. 📈 성장 수치만 보는 건 위험
    기록적인 매출 증가 속에서도 수익성 악화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.
  2. 🧮 GMROI로 실효 투자 수익 확인
    단순 매출보다 “투자 대비 수익”이 더 중요해졌습니다.
  3. 🏭 유연한 납기 관리가 경쟁 우위 확보에 핵심
    빠른 리드 타임은 고객 확보 및 단기 매출 확대에 필수 요소입니다.
  4. 📉 과잉재고 경고 신호를 무시하지 말 것
    지나친 재고 누적은 향후 대규모 할인이나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
✍ 마무리하며…

언뜻 보기엔 화려한 실적처럼 느껴지는 영국 패션 제조업의 성장,
하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면 마냥 웃을 수 없는 구조입니다.

한국의 제조 및 유통 기업도 이런 ‘후행 지표’까지
면밀히 살펴보고, 비즈니스 전략을 세워야 할 때입니다.

단기 매출보다 중요한 것은,
🤔 “지속 가능한 수익 모델”이라는 사실, 잊지 마세요.


📊 출처: https://www.just-style.com/news/uk-fashion-sales-may/

끝. 😊

댓글 남기기